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이야기가 있는 산/산에서 읽는 역사

남한산성에서 읽는 역사 이야기_ 지워지지 않는 삼전도의 굴욕

장한림 2022. 3. 9. 01:44
반응형
728x170
SMALL

https://www.bookk.co.kr/book/view/134061<이 글은 이 책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산에서 역사를 읽다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이나 휴일, 도봉산 역이나 수락산 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

www.bookk.co.kr


"죽음은 견딜 수 없으나 치욕은 견딜 수 있사옵니다." 

<남한산성 - 지워지지 않는 삼전도의 굴욕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과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南漢山은 남한산성으로 더 알려져 있다. 

온 사방이 평지라 밤보다 낮이 길어 주장산晝長山 혹은 일장산日長山으로 불러왔었는데 지금은 대다수 지도에 청량산으로 표기되고 있다.

광주산맥에 속하는 남한산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침식되어 형성된 고위평탄면高位平坦面을 이용하여 쌓은 대표적인 산성 지역으로 성곽길이는 12.4km에 이른다. 

1963년 남한산성의 성벽이 국가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고, 1971년 경기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4년에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니 명함상의 직함만으로도 화려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https://creators.kakao.com/channel/_Gqxhnb/board/list/published

 

카카오계정 로그인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accounts.kakao.com

SMALL

 

 

죽음과 비견한 삼궤 구 고두례三跪九叩頭禮의 치욕

 

수도권 지하철 5호선인 마천역에서 1번 출구로 나와 5분 정도 차도를 따라 걸어 올라가면 남한산성을 일주하기에 적합한 출발점이 있다. 버스 종점이 있는 남한산성 만남의 장소이다.     

성골 마을 들머리로 상가 지역을 지나 오른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잘 정비된 등산로가 나온다. 첫 갈림길의 오른쪽은 유일천 약수터와 수어장대로 갈 수 있는 길인데 왼쪽의 서문을 먼저 오르기로 한다.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으로 네 곳의 성문이 있다. 동문(좌익문)과 서문(우익문), 규모가 가장 크고 통행량도 많은 남문(지화문), 그리고 북문(전승문)이다. 그리고 16곳의 암문이 있는데 우리나라 산성중 문이 가장 많은 곳이 바로 남한산성이다. 

서문으로 올라가는 길엔 계단이 많다. 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짙게 깔릴 무렵이라 붉고 노란 단풍이 화사하게 하늘을 가렸다. 오르면서 숲이 비켜나자 멀리까지 내다볼 수 있게끔 시야가 트인다.

     

초록 붉게 물든다고 그게 

무어 그리 대수일까

초록 물 다 빠지기 전에 

따로 떨쳐낼 게 있어 흠이지

내내 지니고 다니면서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니었잖은가

손닿지 않아 더 가려운 등짝처럼 내내 

움찔거리게 했잖은가 말일세

이제 저 산자락 너머로 훌훌 날려버릴 때도 되잖았나

지녀 병 되고, 안아 독이 될 

그 해묵은 집착 말일세 

 

https://www.bookk.co.kr/book/view/134521

 

경기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https://www.bookk.co.kr/book/view/134522

 

 

한 시간 남짓 걸려 우익문右翼門이라고 현판이 걸린 서문에 닿는다. 묵연한 시선으로 서문의 통로를 바라보노라면 영화 ‘남한산성’의 장면이 떠올라 가슴이 미어진다. 수치스러운 역사의 수많은 기록 중에서도 삼전도三田渡의 굴욕은 수백 년 세월이 지나서도 떠오를 때마다 치욕스러워 이를 앙다물게 한다.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나라의 운명이 이곳에 갇히고 말았었다. 1636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청나라가 조선에 침입하며 일어난 전쟁이 병자호란이다.

여진족, 즉 후금은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조선에 새로운 군신 관계를 요구한다. 청과의 화친을 통해 후일을 도모하자는 주화파와 청과 맞서 싸워 대의를 지키자는 척화파가 한 치 양보 없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높였다. 

     

“죽음은 견딜 수 없으나 치욕은 견딜 수 있사옵니다.”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고 삶을 구걸하느니 사직을 위해 죽는 것이 신의 뜻이옵니다.”

    

영화 ‘남한산성’에서 이조판서 최명길로 분한 배우 이병헌과 예조판서 김상헌의 배역을 맡은 김윤석이 당시 상황을 그럴듯하게 재현했다.

     

“일국의 왕으로서 어찌 오랑캐의 신하 노릇을 하겠느냐.”  

   

조선 16대 왕 인조는 갈팡질팡 고심에 휩싸이다가 결국 척화파의 손을 들어 청의 요구를 거부한다. 그러자 청 태종 황태극은 12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조선을 침공하였다. 

조선은 먼저 봉림대군, 인평대군 등의 왕자를 강화도로 피신하게 하고, 조정 또한 피난하려 했으나 청군의 선발대가 이미 길목을 가로막았다. 가까스로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47일을 버티다가 그예 항복하고 만다. 

백성의 안위보다 왕으로서의 자존심을 내세웠던 인조는 결국 머리를 땅에 찧으면서 신하로서 청을 섬기겠다고 맹세한다. 이미 조선의 수많은 백성이 죽어 나간 이후였다. 

 

반응형

 

 

삼궤 구 고두례. 1637년 1월 30일, 인조는 소복 차림으로 세자와 신하들을 이끌고 남한산성 문을 나와 지금의 탄천인 삼전도에서 여진족의 의식에 따라 청의 황제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며 항복의 예를 갖춘다.     

한숨을 내쉬며 허공을 올려다보는데 색깔 고운 단풍이 그 당시의 핏빛처럼 느껴진다. 패자가 받아들여야 할 피눈물 나는 고통의 농도는 다시 밝아지지 않을 짙은 어둠 그대로였으리라. 

첩첩이 드리워진 어둠 속 먹구름이 이 나라의 앞날에 얼마나 더 많은 비를 뿌릴 것인지, 별조차 숨을 쉬지 못할 것 같은 까만 어둠이 응어리져 굳어버린 나라의 미래처럼 느껴졌으리라. 

     

“임금이시여! 임금이시여! 우리를 버리고 가십니까 吾君吾君 捨我以去乎.”  

   

인조실록에 항복 의식을 끝내고 강을 건너는 인조를 향해 청나라군에 인질로 붙잡힌 1만여 명의 백성이 울부짖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전도에 청 태종의 승첩비를 세워라. 그 비문은 조선이 알아서 지어 바쳐라.”  

    

굴욕은 단지 항복 의식으로 끝나지 않았다. 다섯 달이  지난 1637년 6월, 청나라는 이렇게 다그치며 알아서 기지 않으면 더 큰 수모를 안겨줄 수 있음을 공포하였다.  

서문에서 성벽을 따라 걸으며 견디기 힘든 서러움이자 통한의 곤욕을 가늠하니 다리에 힘이 빠져 휘청거리게 된다. 

나라가 힘이 없으면 백성이 서러움을 당한다. 정묘호란 때도 그랬고 병자호란 때도 청군의 군사들은 철수하면서까지 곳곳의 우리 백성들을 수탈하였다. 

노산 이은상 선생도 남한산에 왔다가 국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던 것 같다. 

 

남한산  돌아올라  헌절사 뜰에

삼학사  충혼 그려  이마 숙일 제

서장대  바람결에  피 묻은 소리

굳세라  뭉치어라  힘을 기르라

  

성곽에도 패자의 서러운 흔적이 짙게 밴 것만 같다

 

 

병자호란 때 척화를 주장하다 청에 끌려가 갖은 곤욕을 당한 후 참형에 처한 오달제, 윤집, 홍익한의 삼학사 넋을 위로하기 위한 사당이 바로 인근에 있다. 1688년 조선 숙종 때 남한산성 내에 세운 현절사顯節祠이다. 

1700년 척화 대신이었던 김상헌과 정온을 함께 배향하면서 지금의 장소로 옮겨지었다. 현절사에서는 매년 음력 9월 10일에 제향을 올린다.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성곽은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축성하여 길도 오르막과 내리막의 굴곡이다. 걸으며 산 아래로는 광주 일대를 내려보고 검단산과 용마산 줄기를 눈에 담는다. 위례신도시 뒤로 바늘처럼 솟은 롯데월드타워도 보게 된다.

 

 

 계속해서 이어지는 역사의 슬픈 궤적

 

 수어장대에 이르면서 단풍은 절정의 색감을 아낌없이 드러낸다. 높은 하늘 아래 펼쳐진 주변 분위기가 완연한 가을임을 느끼게 한다.

지휘와 관측을 위해 지은 남한산성 다섯 개의 장대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게 수어장대守禦將臺(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로 성안에 남은 건물 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하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중앙군이 5 군영 체제로 정비되면서 수어청이 남한산성을 담당하여 수도 외곽의 수비를 전담했고 그 수장인 수어사가 장대를 관장하였다. 

 

남한산성 장대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게 수어장대守禦將臺

 

단층 누각이었던 것을 조선 영조 때 2층으로 다시 축조하여 2층 내부에 무망루無忘樓라는 편액을 달아놓았다. 

병자호란 때 인조가 겪은 시련과 8년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귀국하여 승하한 효종의 원한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영조가 지은 것이다. 

현재 무망루 편액은 수어장대 오른편에 보호각을 지어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보관하고 있다. 훗날 선조들의 불행에 대한 영조의 한스러움에 고개를 끄덕이다가 누각 옆에 세워진 비석을 보고 우지끈 속이 비틀리고 만다.

     

‘리 대통령 각하 행차 기념식수’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뜻은 아니었을 거로 생각한다. 응어리진 역사의 현장에 아직도 이런 아부의 산물을 자취로 남기고 있음에 시장기가 싹 달아나고 말았다.

수어장대 담 오른쪽 모서리에 수어서대守禦西臺라고 큰 글자를 음각으로 새긴 일명 매바위가 있고, 수어장대 입구에는 청량당淸凉堂(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호)이라는 사당이 있다. 

수어장대가 있는 산 이름이 청량산(해발 497.9m)이고 그 옆에 지은 사당이어서 청량당이라 하였는데 남한산성의 동남쪽 축성 책임자였던 이회 장군과 그 부인 송 씨, 그리고 서북성을 쌓은 벽암 스님 김각성의 혼령을 모신 사당이다.

이회 장군은 남한산성을 쌓을 때 완벽히 하기 위해 철저하게 공사를 진행하다가 그만 공사기일을 넘기고 말았다. 설상가상 공사비용까지 부족하게 되자 이회 장군이 주색잡기에 빠졌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조정에 나돌아 결국 참수형에 처하고 만다. 

     

“내가 죽은 뒤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면 나한테 죄가 있는 것이 맞을 것이다.”

  

  

참수형에 처하게 된 이회가 죽기 직전에 하늘을 쳐다보며 한 말이다. 이회의 목을 베자 그의 예언대로 어디선가 매 한 마리가 날아와 바위에 앉아 구슬피 울었다고 한다. 이후 사람들은 매가 앉았던 바위를 매바위라 부르며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이회의 부인 송 씨는 남편이 하는 일을 돕기 위해 영남지방에서 돈과 곡식을 구해오다가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강에 투신했다. 

뒤에 벽암이 쌓은 곳은 무너졌으나 이회가 쌓은 곳은 튼튼한 성벽으로 남았다. 사후약방문, 나라에서는 이회를 위해 사당을 지어 억울함을 위로하였다.

수어장대에서 남문으로 가는 길에 은은한 가을 햇살과 여전히 고운 단풍 틈으로 행궁이 보인다. 

서글픈 불행으로 결말지어진 병자호란의 흔적은 아직도 진하게 남아있다.

행궁에서 오른쪽으로 수어장대를 향해 오르면 숭렬전崇烈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호)이다. 

백제의 시조이며 남한산성을 처음 축조한 온조왕의 넋을 기리는 초혼각招魂閣이 있던 곳인데 조선 인조 때 남한산성 축성에 힘쓰고 병자호란 때 적과 싸우다 병사한 수어사 이서 장군을 함께 모시고 있다.

역사를 길게 오가다가 지화문至和門의 현판이 걸린 남문에 닿으면 더 많은 탐방객을 보게 된다.

 

http://pf.kakao.com/_xahxdGb

 

 

가장 큰 정문인 남문으로 들어온 인조가 가장 작은 서문으로 나가 청에 무릎을 꿇었다는 생각이 들어 또다시 우울해지고 만다. 

남문에서 성곽을 따라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동문으로 간다. 단풍철이라 입구부터 자동차들이 주차되어 있어 붐빈다. 

동문에서 동장대 터 아래로 내려가 남한산성에서 제일 높은 벌봉(해발 515m)으로 올라간다. 길게 이어진 산성이 피아彼我의 긴 전쟁터처럼, 지켜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수단처럼 단조롭게 여겨진다.      

조선 시대 때 개축한 남한산성은 주봉인 청량산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으로 연주봉, 동쪽으로 망월봉(해발 502m)과 이곳 벌봉 외에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바깥쪽은 경사가 급한 데 비해 안쪽은 완만하여, 방어에 유리하면서도 적의 접근은 어려운 편이다. 

봉암성, 한봉성, 신남성 등 세 개의 외성과 다섯 개의 옹성도 함께 연결되어 견고한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성벽과 성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동·서· 남의 문루와 장대, 돈대, 보堡, 암문 등의 군사 방어시설이 남아있다.

 

 

북문으로 향한다. 남한산성 산행로는 외길이 아니라 얽매이지 않고 들를 수 있다. 시간만 맞는다면 이곳저곳 발길 닿는 대로 들러 맘껏 가을 기운을 만끽할 수 있다.

북문에서도 높이 달린 현관의 문패가 씁쓸함을 안겨준다. 싸움에 패하지 않고 모두 승리한다는 의미로 전승문全勝門이라 칭한 북문은 병자호란 당시 기습공격을 감행할 때 사용하던 문이지만 쓰라린 패전의 아픔을 지닌 곳이다. 

당시 영의정 김류의 주장에 의해 300여 명의 군사가 북문을 열고 나가 청나라군과 맞붙었으나 적의 계략에 넘어가 전멸하고 말았다. 

법화골 전투라고 불리는 이 싸움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최대 규모의 전투이자 가장 큰 참패였다. 이후 문의 이름을 패전의 경험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전승문戰勝門이라고 문패를 고쳐 달게 된다.

북장대 터를 지나 다시 서문을 통과한 후 오른쪽으로 올라 전망대에서 서울 도심과 하남 일대를 바라보고 성곽 바깥쪽을 따라 연주봉 옹성에 닿았다.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한 겹의 성벽을 더 둘러쌓는 이중의 성벽을 옹성이라 하는데, 남한산성의 옹성은 성벽으로 근접하는 적을 3면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고, 요충지에 대한 거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성벽에 덧대어 설치한 구조물로 다른 성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연주봉(해발 467.6m)에서는 아차산과 남양주 일대의 한강을 내려다보고 성불사 갈림길로 내려선다. 

왼쪽으로 내려가 능선을 따라 성불사를 거쳐 처음 왔던 곳으로 내려오면서 가슴 쓰리고도 슬픈 궤적의 역사를 덮는다. 

 

https://hanlimwon.tistory.com/manage/newpost/452?type=post&returnURL=https%3A%2F%2Fhanlimwon.tistory.com%2Fentry%2F%EB%8F%84%EB%B4%89%EC%82%B0# 

 

https://hanlimwon.tistory.com/manage/newpost/452?type=post&returnURL=https%3A%2F%2Fhanlimwon.tistory.com%2Fentry%2F%EB%8F%84%EB%B4%89%EC%82%B0

 

hanlimwon.tistory.com

 

 

때 / 가을

곳 / 마천역 - 만남의 광장 - 서문 - 수어장대 - 청량산 - 남문 - 동문 - 동장대 터 - 벌봉 - 북문 - 연주봉 옹성 - 서문 - 성불사 – 원점회귀  

 

 

 

 

https://www.youtube.com/watch?v=EEL1wqpumi4 

 

 

https://www.bookk.co.kr/search?keyword=%EC%9E%A5%EC%88%9C%EC%98%81 

 

온라인출판플랫폼 :: 부크크

온라인출판플랫폼, 온라인서점, 책만들기, 에세이, 자서전,무료 출판

www.bookk.co.kr

https://creators.kakao.com/channel/_Gqxhnb/board/list/published       

 

카카오계정 로그인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accounts.kakao.com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