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세계 고전

한나라에서 교훈을 얻다 6_ 조강지처糟糠之妻

장한림 2022. 6. 6. 23:49
반응형
728x170
SMALL

 

중국 고대 역사를 통해 익히는 고사숙어의 지혜

우리가 흔히 인용하는 고사숙어 혹은 사자성어는 대개 한자문화권 국가인 중국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는 공자, 맹자 등 제자백가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춘추전국시대부터 소설 초한지

www.bookk.co.kr

 

 

 

탑승지부터 종착역까지의 동반자

 

 

후한後漢을 세운 광무제光武帝가 아끼는 신하 중 한 사람인 송홍은 충직하고 반듯한 성품을 지닌 인물이었다. 

이 사람 송홍을 미망인이 된 광무제의 누나인 호양 공주가 흠모했다. 그런데 송홍은 유부남이었기에 왕족을 첩으로 들일 수 없으니 본처가 쫓겨나거나 첩으로 강등되어야 두 사람이 부부로서 혼인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왕의 누이라고 해서 혼담을 강요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이래저래 두 사람이 부부가 되려면 송홍의 의중부터 파악해야 했다. 

광무제는 두 사람을 맺어 주고 싶은 마음에 누이를 병풍 뒤에 숨기고 송홍을 불러 넌지시 마음을 떠보았다.

 

“사람이 출세하면 친구가 바뀌고 부유하게 되면 아내를 바꾼다고들 하는데 그대는 어떠한가?”

 

송홍이 대답했다.

 

“어려울 때 사귄 친구는 잊어서 안 되고 가난할 때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 고생한 아내는 절대 내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에는 여자기 이혼을 당해 쫓겨나는 일이 수치스러운 일이기도 했지만 경제활동이 전면적으로 막혔기에 생계까지 위협받을 수 있었다. 

성군인 광무제가 송홍의 속마음을 파악하고는 실망했지만 달리 취할 방도가 없었다.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서 유래된 조강지처糟糠之妻는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가난하고 어려운 시절을 함께 보낸 아내를 이르는 고사 숙어이다.

조강지처를 버리는 일은 한동안 드라마나 영화의 단골 소재거리였다. 실제로도 그런 사례가 왕왕 발발해서 법정 다툼으로 번지거나 자살소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던 것이다.

 

 

 

나의 창작 장·단편_ 도서 정보

저자 소개 더보기 장순영은 이러한 책들을 집필, 발행하였습니다. <장편 소설> 흔적을 찾아서(도서출판 야베스,2004년) 대통령의 여자 1, 2권(중명출판사, 2007년) 아수라의 칼 1, 2, 3권(도서출판 발

hanlimwon.tistory.com

 

배부르고 등이 따뜻해지면 다른 생각을 먹게 된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초심을 유지해야 한다는 말은 살아가면서 노상 염두에 두어야 할 명언인 듯하다.

조강지처를 내치는 건 비단 유교문화권에서만 비난받는 게 아니다. 서구 사회에서도 젊고 예쁜 여자에 혹해 명분 없이 본처와 헤어지는 걸 곱게 봐주지 않는다. 

요즈음엔 이혼을 하고 자식을 맡아 키우는 전처의 부양비마저 부도내는 전 남편이 허다하다는 뉴스를 접하곤 한다.

인륜의 도리를 저버리면서 무언가를 도모한다는 건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NhcPf1yhbi8 

 

    

반응형
 

온라인출판플랫폼 :: 부크크

온라인출판플랫폼, 온라인서점, 책만들기, 에세이, 자서전,무료 출판

www.bookk.co.kr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