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시기별·지역별 산행·여행지/지금 가기 딱 좋은 산행지, 여행지

국립 세종수목원 다윈난 개화

장한림 2023. 1. 9. 20:50
반응형
728x170
SMALL

 

 

국립 세종수목원에 활짝 핀 다윈난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수목원인 국립 세종수목원은 온대 중부지역의 식물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우리의 전통정원 문화를 발전시키며 도심 속 녹색문화 체험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세종 정부청사와 인접한 연기면 수목원로에 조성되었다.

 

 

 

온라인출판플랫폼 :: 부크크

온라인출판플랫폼, 온라인서점, 책만들기, 에세이, 자서전,무료 출판

www.bookk.co.kr

 

국립 세종수목원 사계절 전시온실 내 열대온실에서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다윈난Angraecum sesquipedale Thouars 꽃이 활짝 피었다.

 

 

반응형

 

다윈난은 세종수목원 개원 첫 해인 20213월에 개화하였고 작년에는 더 이른 1월에, 올해에도 1월에 세 번째 개화를 시작하였다.

 

 

300x250

 

아프리카 동쪽 마다가스카르 섬이 원산지인 다윈난은 바위나 수목 수피에 착생해 자라는 난으로,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발견하고 그의 진화론 연구에 단서를 제공해 다윈난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찰스 다윈은 이 난을 발견하고 여러 종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관계를 통한 진화적 변화, 즉 공진화共進化의 연관성으로 30cm 정도의 꿀주머니에 있는 꿀을 먹을 수 있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론했다.

 

 

 

찰스 다윈이 사망한 후 41년 뒤 그의 추론대로 20cm 이상의 긴 주둥이를 가진 나방이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되었다.

 

 

 

다윈난의 꽃은 아름다우며 향기가 강하다. 겨울철 잎 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큰 별 모양의 꽃이 피는데 그 모습이 크리스마스 트리와 비슷하여 크리스마스 난’, ‘베들레햄의 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SMALL

 

다윈난은 두 생물 종이 서로 적응하고 진화하며 공생하는 관계를 맺으며 살아온 공진화의 대표적 모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5boRziib8YE 

 

 

장순영의 부크크 커뮤니티

장순영은 이러한 책들을 집필, 발행하였습니다. <장편 소설> 흔적을 찾아서(도서출판 야베스,2004년) 대통령의 여자 1, 2권(중명출판사, 2007년) 아수라의 칼 1, 2, 3권(도서출판 발칙한 상상, 2008년)

www.bookk.co.kr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