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반응형
SMALL

비상계엄 2

군인의, 군인에 의한, 군인을 위한 7_ 5·17 쿠데타

춘래불사춘, 결국 봄은 오다가 말았다 서울의 봄 “운명하셨습니다.”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맞은 박정희는 국군 서울지구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깨어나지 못했다. “나라님이 돌아가셨다는데 대놓고 웃을 수는 없고 이거 참, 표정 관리하기가 쉽지 않구먼.” 10·26 사건 이전의 한국 정치는 너무나 음울하여 희망이 사라진 암흑기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은 독재 유신체제에서 벗어났다는 안도의 목소리와 함께 민주화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기 시작했다. 아직 엄동의 계절이긴 하지만 유신체제가 막을 내리면서 세상엔 봄기운이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참으로 긴 세월을 참고 살아왔다. 아니 억압과 강요와 폭력을 당연시하며 살아왔다. “지금부터는 우리 대한민국에도 참다운 민주주의가 들어설 거야.”..

창작 글 2022.03.20

군인의, 군인에 의한, 군인을 위한 6_ 12·12 군사반란

작전명 ‘생일 집 잔치’ 천재일우의 기회를 잡은 보안사령관 “잡아들여.” “예, 알겠습니다.” 1979년 12월 12일 저녁, 직속상관으로부터 명령을 하달받은 두 명의 대령이 절도 있게 거수경례를 올리곤 방을 나갔다.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이후 다시 또 군인이 무력으로 정권을 전복하는 발단의 순간이었다. - 육군 참모총장, 상대는 육참총장인데… 국군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겸 계엄사령부 소속 합동수사본부 조정 통제국장인 허삼수 대령과 합동수사본부 수사 제2국장 우경윤 대령을 내보낸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은 크게 숨을 몰아쉬더니 창가로 다가갔다. 창밖으로 허와 우, 두 대령이 부하들을 소집하는 게 보인다. 막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의 강제 연행을 지시했다. 이젠 모 아니면 도다. - 그렇지만 모가 나올..

창작 글 2022.03.19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