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 묘봉과 울창한 수림, 구름다리까지 모두 붉게 물든 호남의 소금강, 가을 강천산
호남의 소금강이라고 불릴 정도로 속속 기봉이 솟아있고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고이 지닌 깊은 계곡과 계곡을 뒤덮은 울창한 수림을 이루는 강천산剛泉山은 1981년 전국에서 최초로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산세가 용이 꼬리를 치며 승천하는 모습과 연상케 하여 용천산龍天山이라 불렸던 강천산은 광덕산(해발 565m), 산성산(해발 603m)과 능선으로 이어진다.
담양에서 순창으로 가는 길에 전국적 명소가 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 길을 지나 제1 강천호수를 끼고 순창 옥거리로 들어서면 강천산 매표소가 나온다.
좁은 진입로엔 토속 특산물 행상인과 행락객들이 빼곡하게 길을 막고 있다. 살짝 거부감이 이는 행락객으로 치부되기 싫어 걸음을 빨리하여 번잡한 공간을 빠져나간다.
더는 붉어질 수 없을 정도로 빨간 단풍과 엷게 홍조 머금은 주황 단풍들이 맑은 개울물에 숱 많은 머리카락을 늘어뜨려 머리를 감으려는 것처럼 보인다.
매표소를 통과하면 바로 도선교와 병풍바위가 나타난다. 병풍바위에 얇은 망사 같은 물 자락이 흘러내리는데 눈을 떼지 않으면 위로 타고 오르는 것처럼도 보인다.
병풍바위의 큰 폭포는 높이 40m, 그 오른편의 작은 폭포는 30m의 높이로 인공 조성되었지만, 전혀 인위적인 느낌이 들지 않는다.
병풍바위 밑으로 지나가면 그동안 지은 죄도 깨끗이 씻어진다는 설이 있어 몇 번을 오가며 사진을 찍었지만 지은 죄가 커서일까. 지나면서도 거듭 죄를 짓는 느낌이다. 초입에 길게 늘어선 단풍나무 아래로 지은 죄를 씻어내고픈 맑은 계류가 흐른다.
단풍 빛깔과 햇빛, 물빛까지도 모두 고운 화창한 계절, 수북하게 쌓인 낙엽들을 밟노라면 가을은 이제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또 낮게 숙여가고 있다.
강천산은 단풍 고운 지금뿐 아니라 봄이면 진달래, 개나리와 벚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이 산 계곡의 맑은 물을 찾아 인파가 몰려든다고 하니 소금강의 호칭을 듣기에 모자람이 없는 담양의 명소이다.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병풍바위, 용바위, 비룡폭포, 금강문 등 명소가 많으며, 광덕산과 산성산에 이르기까지 선녀 계곡, 원등골, 분통골, 지적골, 황우제골 등 이름난 계곡만도 10여 개에 이른다.
가장 좋은 볼거리는 11월 초순에 절정을 이루는 단풍과 4월 초순에 만개하는 산벚꽃이 유명한데, 산 입구의 강천호 주변뿐 아니라 등산로 어디에서나 즐길 수 있다.
강천문을 지나 강천사 경내에 들어선다. 887년(신라 진성여왕 1) 도선국사가 세운 사찰이다. 이 곳의 석탑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92호로 지정되었고, 절 입구의 모과나무는 전라북도 기념물97호이다. 삼각 꼭짓점 선명한 신선봉이 우뚝하고 그 오른쪽으로 전망대가 보인다. 천연기념물로 보호 중인 느티나무는 굵은 가지들을 이리저리 휘감아 뻗어 머리카락처럼 잔가지들을 늘어뜨리고 있다.
강천사 맞은편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의 삼인대三印臺가 있다. 조선조 폭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하는 중종반정이 일어난다. 반정에 성공하자 공신들은 왕비인 단경왕후 신 씨를 역적 신수근의 딸이라 하여 폐출하고 장경왕후 윤 씨를 왕비로 맞이하였다.
10년이 지나 장경왕후가 죽자 당시 순창군수 김정, 담양 부사인 박상과 무안 현감 유옥은 관직으로부터의 추방과 죽음을 각오하고 폐출되었던 단경왕후의 복위 상소를 올리면서 소나무 가지에 직인職印을 걸었다. 그 뒤 이곳에 비각을 건립하고 삼인대라 하게 된 것이다. 삼인대 외의 문화유적지로는 전북기념물 52호인 금성산성이 가까이 있다.
울긋불긋 낙엽에 휘덮인 통나무 계단을 올라 물씬한 가을 정취에 젖어 걷다 보면 구름다리가 나온다. 50m 높이에 길이 75m의 산악 현수교에 많은 이들이 건너간다.
대다수 단풍 행락객이 다리를 건너 전망대로 향하는데 구름다리는 눈에만 담고 왕자봉으로 가기 위해 오른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본격 등산로에 접어들자 그 많던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다. 꽤 가파른 돌계단을 오르자 구름다리가 다시 시야에 들어온다. 그리고 정상인 왕자봉(해발 583.7m)에 도착하게 된다. 역시 자연은 위대하다. 홀로 산행, 먼 길이지만 한결 맘이 가벼워진다. 왕자봉에서 단전 깊숙하게 맑은 숨을 들이마시자 강천산 조망 권역이 모두 내 집 마당처럼 느껴진다.
전북 순창과 도계를 이루는 전남 담양은 대나무의 고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죽세공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울창한 대나무 숲인 죽녹원에 가면 대나무 사이로 불어오는 죽풍이 청량감을 불어넣어 주는데 운수대통길, 죽마고우길 등 죽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총 2.2km의 산책로에서 대나무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강천산 내공을 담고 깃대봉으로 향하며 오늘따라 왜 가슴이 탁했던가를 어렴풋이 깨닫게 된다. 바라는 마음이 깊이 고이면 서운해지는 법이라 하지 않던가. 다 내려놓았다 싶었던 욕구의 꼬랑지가 손 닿지 않아 더 가려운 등허리처럼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니었잖은가. 모서리 진 저 바윗길 모퉁이에 속으로 비집고 들어온 집착 덩어리를 훌훌 떨쳐버리자.
여름에 비해 스산한 산죽나무 오솔길을 벗어나자 바로 깃대봉이다. 왕자봉에 왕자가 없듯 깃대봉에도 깃대가 없다. 깃대봉 삼거리 부근에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 가지 못한 봉우리들에 눈길만 던진다. 뉘엿뉘엿 해가 기울기 시작하는 깃대봉에서 필요와 욕심의 경계를 철저히 구분 짓기로 맘 다져보지만 글쎄, 얼마나 버틸는지.
무얼 내던져도 찰나에 사라질 듯한 고개 위에서 살아 꿈틀거리던 욕구와 남아있는 집착 한 덩어리를 힘껏 패대기치고 그것들이 추락하는 걸 묵연히 바라본다.
담양으로 가는 버스에서 뒤돌아보니 고운 한복으로 단장한 여인이 노을 속에서 배웅한다. 강천산의 마지막 모습은 수줍음 띤 조선 여인의 아리따운 자태였다.
때 / 가을
곳 / 강천산 매표소 - 금강문 - 병풍바위 - 강천사 - 현수교 - 왕자봉 - 깃대봉 - 병풍바위 – 원점회귀
https://www.youtube.com/watch?v=iGeC5F1mBBk
'시기별·지역별 산행·여행지 > 지금 가기 딱 좋은 산행지,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풍산행_ 남도의 명산 두륜산, 대둔산, 달마산 종주 (2) | 2022.11.09 |
---|---|
단풍산행_ 부산의 명산 금정산 고당봉에서 단풍 고운 범어사로 (2) | 2022.11.08 |
단풍 명소_ 양재동 매헌 시민의 숲, 문화예술공원 (7) | 2022.11.07 |
가을 테마파크_ 서서울 호수공원 (6) | 2022.11.04 |
단풍산행_ 담양호 국민관광지를 거느린 추월산 (1)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