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반응형
SMALL

중국고대역사 2

한나라에서 교훈을 얻다 4_ 난형난제難兄難弟

중국 고대 역사를 통해 익히는 고사숙어의 지혜 우리가 흔히 인용하는 고사숙어 혹은 사자성어는 대개 한자문화권 국가인 중국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는 공자, 맹자 등 제자백가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춘추전국시대부터 소설 초한지 www.bookk.co.kr 라이벌은 형제처럼 귀한 존재 후한 말, 집안에 든 도둑을 용서하며 양상군자의 고사 숙어를 만들어낸 진식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장남 진기와 둘째 진심이었다. 진기와 진심도 아버지 영향을 받아 학문이 뛰어났고 큰 포용력을 지녔다. 이들 두 아들이 성장해서 각각 아들 하나씩을 두었는데 진기의 아들은 진군이고 진심의 아들은 진충이다. “우리 아버지는 팔방미인이야. 아는 것도 많으시고 못하는 게 없으신 훌륭한 분이야.” “큰아버지가 뛰어나시긴 하지만 우리 아버..

세계 고전 2022.06.06

당송시대를 돌아보다 8_ 만천과해瞞天過海

중국 고대 역사를 통해 익히는 고사숙어의 지혜 우리가 흔히 인용하는 고사숙어 혹은 사자성어는 대개 한자문화권 국가인 중국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는 공자, 맹자 등 제자백가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춘추전국시대부터 소설 초한지 www.bookk.co.kr 보이는 것과 느끼는 것이 항상 같지는 않다 서기 643년 당나라 황제 태종이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30만 대군을 이끌고 원정에 나섰다. 그런데 발해만에 도달하자 바다를 바라보며 건너기를 꺼려하는 것이었다. “도읍인 장안을 떠나 여기까지 왔는데 황제께서 고구려 공격을 멈출까 심히 걱정되오.” “저에게 맡겨주십시오. 황제께서 모르는 사이에 바다를 건너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 정벌의 사령관인 장사귀가 우려를 표하자 부사령관인 설인귀가 계책을 마련했다. “..

세계 고전 2022.06.0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