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반응형
SMALL

대둔산도립공원 2

겨울 산행_ 금강구름다리와 삼선계단에서 만끽하는 겨울 절경, 대둔산

단풍이 물들었던 자리에 눈꽃이 활짝, 겨울에도 천혜의 가경을 보여주는 대둔산 전북 완주군과 충남 논산시, 금산군에 접한 대둔산大芚山은 6km에 걸쳐 수많은 암봉이 수려하게 이어져 호남의 금강이라 불리며, 1977년에 전북과 1980년 충남에서 각각 도립공원으로 지정하고 있다. 인적이 드문 벽산 두메산골의 험준하고 큰 산봉우리를 의미하는 산 이름을 지녔어도 가을 단풍의 절경과 수려한 산세에 산장, 구름다리, 케이블카 등의 관광시설을 갖추어 많은 이들로부터 듬뿍 사랑받는 산이다. 대둔산 가까이 있는 배티재(해발 349m)에서 잠시 내린다. ‘임란 순국 무명 사백 의병비’라고 쓴 석비가 세워있다. 임진왜란 당시 권율 장군의 이치 대첩과 관련된 곳이라고 들은 바 있다. 이치梨峙는 순우리말 배티재의 한자어이다. ..

단풍산행_ 발 내딛는 곳마다 추색 완연한 대둔산

전북과 충남 두 지자체에서 도립공원으로 지정한 대둔산, 그 산에 마구 뿌려진 오색 물감 티 한 점 없이 고운 하늘이다. 거침없이 맑은 이 하늘 밑에서 누군가를 미워하고 생각이 무엇엔가 슬픔을 느낀다면 무척 불행할 거란 든다. 그런 하늘이 눈부시게 머리 위로 펼쳐져 있다. 대둔산大芚山의 원래 명칭은 한듬산이다. 한듬산, 인적 드문 오지 두메산골의 험준하고 큰 산이라는 의미이다. 혹자는 계룡산과 지척에 위치하고 두 산의 형상이 적잖이 닮았지만 산태극, 수태극의 커다란 명당자리를 계룡산에 빼앗겨 한이 맺혔다 해서 한듬산이라는 뜻풀이를 내놓기도 했는데 그 풀이의 합리성엔 쉬이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는다. 그건 그렇고 만해 한용운은 이렇게 말했다. “태고사를 보지 않고는 천하의 명승지를 논하지 말라.” 대둔산은 충..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