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반응형
SMALL

단심가 2

조선 500년 이슈 1_ 하여가何如歌와 단심가丹心歌(2-2)

나라와 백성을 위해 끊임없이 이어지는 태종의 정치역정 1367년 조선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난 이방원李芳遠, 자는 유덕遺德이고 호가 방원芳遠이다. 맏형인 정종의 양위를 받아 3대 조선 왕으로 즉위하니 그가 4대 세종대왕의 아버지 태종이다. 개국 조선의 부흥에 특히 심혈을 기울인 태종은 그때까지 공신들이 사적으로 소유・관리하던 사병私兵제도를 폐지한다. 혁명으로 나라를 바꾼 이였으니 역시 다른 이들의 혁명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었을 터. 군대의 위력을 일찌감치 인식한 바 있는 그는 반대론이 없지 않았지만, 강권으로 사병을 나라의 군대로 편입시켜 국방력을 강화하였다. 1404년에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의정부를 설치하였으며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의 6부를 직접 관리함으로써 국정에..

창작 글 2022.03.29

조선 500년 이슈 1_ 하여가何如歌와 단심가丹心歌(2-1)

하여가何如歌와 단심가丹心歌, 시를 읊어 서로의 속을 주고 받다 http://pf.kakao.com/_xahxdGb 채널 추가하시고 산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시기 바랍니다. “하늘이 주신 마지막 기회야. 지금 바로 그들을 쳐야 한다. 벽란도로 가자.” 해주에서 사냥하다가 말에서 떨어진 이성계가 크게 다쳤다. 개경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벽란도에서 요양을 하며 몸을 추스르고 있었다. 정몽주는 천재일우의 기회라 여기며 이성계 일파를 제거하기로 하였다. 마지막까지 고려 왕조를 지키려고 노심초사하던 중에 이성계가 다쳤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진 거였다. “느낌이 좋지 않다. 아버님이 다친 건 단순히 아버님의 부상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 지금 즉시 벽란도로 가자.” 정몽주가 보았던 한줄기 햇빛은 이방원..

창작 글 2022.03.2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