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어머니의 품이다

등산과 여행은 과거와 미래에서 지금으로 복귀하는 움직임이다

등산과 여행의 모든 것

카테고리 없음

국립공원 100경 중 제59경_ 소백산 국립공원 능선과 야생화

장한림 2022. 7. 3. 16:08
반응형
728x170
SMALL

 

 

국립공원의 산

1967년 지리산이 우리나라 제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지금까지 스물 두 곳의 국립공원이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산들을 찾다 보면 그곳이 국립공원이고, 국립공원

www.bookk.co.kr

 

 

 

 

아는 꽃, 대충 아는 꽃, 아예 모르는 꽃 천지인 소백산 능선의 야생화

 

 

1987년 12월 우리나라 국립공원 제18호로 지정(건설부 고시 제645호)된 소백산 국립공원은 총면적은 322.011㎢로 경북지역에 168.407㎢, 충북지역에 153.604㎢가 분포되어 있다.
소백산은 우리나라 12대 명산 중의 하나다. 한반도의 등뼈 같은 백두대간 줄기가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중심에 우뚝 선 소백산 국립공원은 영주 분지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1개읍·3개면, 경상북도 영주시 1개읍·4개면과 봉화군 1개 면에 속해있다.

 

 

 

소백산은 이름에서의 느낌 때문에 작은 산이라 인식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방대하고도 길게 뻗은 명산이다. 주봉인 비로봉을 비롯해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능선마다 수많은 야생화가 피어나며 희귀식물인 왜솜다리(에델바이스)가 자생하는 등 1,513종의 식물자원이 섭생하는 지역이다.

 

 

모뎀이풀

 

 

 

산과 산을 잇고 또 나를 잇다

1967년 지리산이 우리나라 제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지금까지 스물 두 곳의 국립공원이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산들을 찾다 보면 그곳이 국립공원이고, 국립공원

www.bookk.co.kr

금강 애기나리

 

금강 애기나리는 애기나리에 비해 화피 끝이 뾰족하게 뒤로 젖혀지고, 꽃잎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과 줄기에 가시 돌기가 나타나고 잎의 밑동은 줄기를 약간 감싼다. 열매는 약간 세모지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고, 긴 달걀모양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심형으로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cm이다.

꽃은 4~6월에 연한 황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줄기 끝에 1~2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꽃자루는 2cm 내외이다. 화피 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 아래쪽에 붙고 화피보다 짧다. 꽃밥은 노란색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강애기나리 (국립수목원 국가 생물종 지식정보: 식물)

 

 

 

 

연령초

 

5~6월에 개화하는 연령초는 산중 숲 속에서 15~40cm로 자라며 약으로 썼을 때 수명을 연장하는 풀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줄기 하나에 넓은 잎 세 장이 잎자루도 없이 붙고, 그 위쪽 가운데에서 세 장의 꽃잎으로 꽃이 핀다.

 

 

 

꽃산수국

 

높이 1m. 잎은 마주나고 긴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길이는 5~15cm, 폭은 2~10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백색 또는 청보라색이며, 7~8월에 가지 끝에 산방 꽃차례로 달린다. 주변의 중성화(中性花)는 꽃받침조각이 3~5개로 톱니가 있고 꽃잎처럼 생겼다. 중앙에 양성화가 달리며,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개이다.

열매는 삭과10월에 익으며, 잔뿌리가 있다. 번식은 포기나누기나 꺾꽂이로 한다. 생육온도는 16~30이며, 토양수분이 많은 물가나 골짜기에서 잘 자란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많이 이용된다. 한국 중부 이남 및 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꽃산수국 [山水菊]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반응형

 

장순영의 부크크 커뮤니티

장순영은 이러한 책들을 집필, 발행하였습니다. <장편 소설> 흔적을 찾아서(도서출판 야베스,2004년) 대통령의 여자 1, 2권(중명출판사, 2007년) 아수라의 칼 1, 2, 3권(도서출판 발칙한 상상, 2008년)

www.bookk.co.kr

 

쉬땅나무

 

쉬땅나무산정 사면 계곡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2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꽃은 봄꽃들이 지고 나서 초여름에 피기 시작하는데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차례가 수수 이삭 같기 때문에 쉬땅나무라고 하며 잎은 어긋나며, 깃모양 겹잎이고 소엽은 13~23개 정도 달린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서 복 총상 꽃차례에 흰색으로 많은 꽃이 달린다.

중부 이북지방의 산기슭, 계곡에서 생육하며, 쉬나무, 개쉬땅나무, 밥쉬나무라고도 한다. 관상용, 밀원식물, 식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에델바이스

 

에델바이스edelveiss는 유럽과 남미 고산지대가 원산인 식물로 10~30cm 정도로 잎이 길고 무성하게 자라며 스위스 국화이기도 하다. 알프스 주변 고산지대에 자라며 알프스의 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유럽,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분포한다.

왜솜다리는 고산에 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에델바이스라고도 불린다. 솜털이 나며 줄기는 밀생한다. 이름은 일본에 나는 솜다리라는 데서 유래한다. 솜다리, 북솜다리라고도 한다. 중국, 일본에 분포 한다.

 

 

털중나리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온몸에 잔털이 있다. 6~8월에 노란색을 띤 붉은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관상용이고 뿌리와 줄기는 약용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털중나리 [Friendly lily]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https://www.youtube.com/watch?v=u9iTidhrRsY 

 

 

경상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충청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강원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전라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경기도의 산

얼마 전 갤럽은 우리나라 국민의 취미 생활 중 으뜸이 등산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말, 도봉산역이나 수락산역에 내리면 그 결과에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처럼 많은 등산

www.bookk.co.kr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