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정취 한껏 묻어나는 조선시대 5대 궁궐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덕수궁, 경희궁의 한양 5대 궁궐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며 그곳의 가을도 함께 느껴보자
궁궐은 왕이 일상생활을 하는 궁宮과 업무를 보는 영역인 궐闕이 합쳐져 왕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정사政事를 보는 곳으로 정의된다.
궁은 그 기능에 따라 잠저潛邸, 제택第宅, 묘전궁墓殿宮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잠저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 왕자가 살던 집을 일컫는다.
조선시대 27명의 왕 중에 장자長子로 왕위에 오른 사람은 5대 왕 문종, 6대 단종, 10대 연산군, 16대 인종, 18대 현종, 19대 숙종, 20대 경종의 7명이다. 1대 왕 태조 이성계, 3대 태종, 7대 세조, 11대 중종, 12대 인조는 반정 혹은 찬탈에 의해 왕이 되었고, 2대 정종, 4대 세종, 8대 예종, 13대 명종, 15대 광해군, 17대 효종, 22대 정조, 23대 순조, 24대 헌종, 마지막 27대 순종은 장자 대신 왕이 되었다. 9대 성종, 14대 선조, 21대 영조, 25대 철종, 26대 고종은 이전 왕에게 후사가 없어 추대되었다.
세자로 책봉되지 않은 왕자가 왕위를 이어받게 되면, 궁궐 밖에서 살다가 궁궐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궁궐 밖에서 살던 옛집을 ‘잠저’라 하는데, 세조가 즉위하기 전에 살던 영희전, 광해군이 살던 이현궁, 인조가 살았고 효종이 태어나 살던 어의궁, 영조가 살던 창의궁, 고종이 태어나 살던 운현궁이 잠저에 해당한다.
왕비가 아닌 후궁에게서 태어난 왕자가 왕이 될 경우 왕의 어머니는 왕비가 아니기 때문에 죽은 후에 종묘에 신주를 모시지 못한다. 또 왕위 계승자가 아닌 왕자가 왕이 되었을 때 그 아버지도 마찬가지였다. 이 때문에 왕의 어머니와 아버지, 즉 사친私親을 모시는 사당을 궁이라 불렀었다. 그 예로 어머니의 사당인 육상궁, 연호궁, 저경궁, 대빈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과 아버지의 사당인 도정궁, 경모궁, 누동궁이 있다.
혼기가 차서 출가한 왕의 자녀들인 왕자가 살던 집과 공주나 옹주가 혼인 후 남편과 살던 집도 궁이라 불렀다. 그 예로 용동궁, 계동궁, 사동궁, 창성궁, 죽동궁 등이 있다. 그리고 왕가의 특별한 행사를 위해 지은 별궁으로 안국동 별궁이 있고, 요절하거나 후사 없이 죽은 왕자와 공주를 위한 수진궁도 있었다. 이렇게 조선 시대 한양에는 많은 궁이 생겨났다.
1392년 태조 이성계는 개경에서 조선을 건국한 후 한양으로 도읍을 옮겨 종묘와 사직을 세운 후 경복궁을 건설했다. 정종 때 수도를 개성으로 옮겼다가 태종 때 다시 한양으로 옮기면서 창덕궁을 건설하여 이궁離宮으로 사용했다.
성종은 어머니 소혜왕후와 예종비 안순왕후, 세조비 정희왕후를 모시기 위해 창경궁을 지었다. 임진왜란 후 의주로 피난을 떠났다가 돌아온 선조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이 모두 불타버려 월산대군이 살던 집에 임시로 거처하였는데,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이곳에서 즉위하면서 경운궁이라 했다.
고종이 아관파천 후 이전까지 거처했던 경복궁으로 돌아가지 않고 경운궁에서 지냈으므로 궁을 넓혔다. 그리고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상왕이 거처하는 곳이라 하여 덕수궁이라 칭했다.
광해군이 인조의 아버지 정원군이 살던 새문동 집터에 왕의 기운이 서린다는 소문을 듣고 이곳에 궁궐을 세웠는데, 처음에는 경덕궁이라 했으나 영조 때 경희궁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정궁正宮인 경복궁을 두고 이궁을 건설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왕이 전란이나 화재 등 정궁에 거처할 수 없을 경우에 대비하여 이궁을 두어 양궐 체제를 유지했다. 특히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불타고 나서 선조 이후의 왕들은 창덕궁이나 창경궁에 거처했고, 고종 때 가서야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했다.
이렇게 해서 수도 한양에는 북궐인 경복궁,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 서궐인 경희궁, 덕수궁이 세워지게 되었는데 이를 한양의 5대 궁궐 또는 조선시대 5대 궁궐이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2EI1jDpDA0c